아이폰 보증 기간 및 수리비용 매장 확인, 앱 설치

아이폰은 다른 안드로이드 및 여타 스마트폰에 비해서 잘 고장 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액정이 깨지거나 파손되면 수리센터를 방문할 수밖에 없습니다. 소프트웨어나 기계의 자체 결함 시 보증기간이 만료되지 않았다면 무상으로 수리 또는 리퍼 교체가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수리 기간이 지나면 유료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액정 파손 같은 개인의 실수로 손상되었을 때는 보증기간과 상관없이 비용이 청구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럼 간단히 설정 앱에서 보증기간 확인과 애플에서 제공하는 앱을 이용해서 가까운 수리 센터 매장을 확인해보고 수리 비용도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으로 검색한 정보는 오래된 것도 있고 확실하지도 않으니 수리비용과 수리 센터를 알아보기에는 애플에서 제공하는 앱이 더 유용한 것 같습니다.

 

아이폰 보증 기간 만료 기간 확인

 

1. 우선 보증기간이 남았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iPhone의 설정 앱으로 이동한 후 일반 메뉴를 선택합니다.

1. iPhone 설정 > 일반


 

2. 일반 메뉴에서 정보 탭을 선택합니다.

2. 일반 > 정보


 

3. 정보에서 보증에 관련된 메뉴를 탭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아이폰을 구매한 지 1년이 지나서 보증이 만료됨이라고 뜹니다.

3. 보증기간 확인


 

4. 적용 범위에 대해서 알려줍니다. 유상 수리 및 서비스, 전화 지원은 모두 가능합니다. 이제 Apple 지원 앱 받기를 눌러서 지원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4. Apple 지원 앱 받기


 

아이폰 Apple 지원 앱 설치

 

5. Apple 지원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현제 4.1.4 버전까지 나왔으며 iPad에서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5. 애플 지원 앱 다운로드


 

6. Apple 지원 앱이 설치되면 계속 버튼을 눌러서 다음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6. Apple 지원 앱 실행


 

7. 지도 서비스를 허용하는 것이 나중에 가까운 매장을 확인하기 편리합니다. 앱을 사용하는 동안 허용 버튼을 눌러줍니다.

7. 지도 서비스 허용


 

8. 다양한 서비스 메뉴가 있는데요. 저는 금이 간 화면 (전면만 해당) 메뉴를 선택했습니다. 서비스 가격 알아보기 버튼을 누릅니다.

8. 서비스 종류 선택


 

9. 웹 페이지로 서비스 가격에 대해서 알려줍니다. 아이폰 11 프로를 쓰고 있는데요. 363,000 원 이랍니다. 진짜 비싸네요. 하나 다시 사는 게 빠를 것 같습니다.

9. iPhone 서비스 가격 확인


 

10. 이전 단계로 돌아가서 수리받을 제품 가져가기 메뉴의 공인 센터 찾기 버튼을 눌러서 가까운 수리 센터를 찾아봅니다.

10. 가까운 공인센터 확인


 

예전에 애플 iPhone 사설 수리 센터를 찾아가서 배터리를 교환받은 적이 있는데요. 며칠 있다가 아이폰이 먹통이 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물론 요즘은 사설 수리 센터가 많이 없어진 것 같지만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다소 비싸긴 하지만 애플 공인 수리 센터에서 서비스를 받는 것이 훨씬 금전적으로 이득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보증기간 안쪽에 수리를 한다면 무상 서비스도 많이 있으니까요. 그럼 소중한 아이폰 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