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택스 Wetax, 자동차세 지방세 납부하기
- 인터넷 활용
- 2020. 12. 29.
안녕하세요. 오늘은 누구나 차가 있다면 내는 세금 중에 하나를 위택스를 통해서 납부해보겠습니다. 바로 자동차세입니다. 자동차세는 지방세로 위택스에서 누구나 쉽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지로를 통해서 납부하는 것이 귀찮거나 번거로우신 분들은 인터넷으로 쉽게 납부하는 방법이 도움이 되실 거 같습니다.
▼ 1. 일단 지방세 납부를 위해 위택스에 들어가서 납부하기 메뉴를 선택합니다. 상단 메뉴에서 두번째에 위치합니다.

▼ 2.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해줍니다. 지금은 공동인증서? 라고 이름이 바뀌었죠.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이 가능하시다면 다른 로그인으로 로그인하셔도 됩니다.

▼ 3. 지방세 메뉴에 들어가자마자 자동으로 현재 납부할 내용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팝업이 하나 뜨네요. 연납 신청에 대한 안내사항입니다. 자동차 연납을 하게 되면 1월은 연세액의 10% 3월은 7.5% 6월은 5% 9월은 2.5%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부가서비스 > 자동차세 연납신청에서 가능합니다. 내년에는 연납을 해서 조금 아껴봐야겠네요. 팝업창을 닫아주세요.

▼ 4. 납부할 항목을 체크해주시고 납부버튼을 누릅니다. 여러 항목이 있다면 그중에 내고 싶은 것만 골라서 내실 수 있어요.

▼ 5. 납부 금액을 표시한 안내 팝업이 뜹니다. 확인 버튼을 눌러서 완료해줍니다.

▼ 6. 회원납부와 타인납부가 있습니다. 저는 회원 납부로 하겠습니다. 타인 납부는 누군가 대신 세금을 내주는 메뉴 같은데 저도 누가 대신 좀 내줬으면 좋겠어요.

▼ 7. 회원납부 메뉴를 선택하셨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금액 납부 팝업이 뜹니다. 별도의 팝업창에서 결제 합니다. 일단 납부할 항목을 선택해주세요.

▼ 8. 다음으로 은행 납부, 카드 납부, 간편 결제 납부가 있습니다. 기능은 거의 동일합니다. 저는 카드 납부로 진행할게요. 결제가 가능한 카드는 신한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BC 카드, KB 국민카드, NH 농협카드, 씨티카드, 광주카드, 전북카드, 수협카드가 있습니다.

▼ 9. 카드 정보를 입력해줍니다. 일시불도 있고 무이자 2, 3 개월이 있더군요. 일시불로 선택할게요.

▼ 10. 세입금 경고 창이 뜹니다. 환불 불가라는 무서운 항목이 있네요. 카드실적 혜택도 가능하긴 한가봐요? 세금 납부로 카드 실적을 채우다니 나중에 조금 더 알아봐야겠네요. 체크 박스를 누르고 세입금 납부 버튼을 누릅니다.

▼ 11. 납부된 결과를 보여줍니다.

▼ 12. 만약 실수로 납부페이지를 닫았다고 해도 납부확인이 가능합니다. 납부결과 > 지방세 메뉴에서 확인이 가능해요.

오늘은, 위택스에서 자동차세를 납부하고 납부내역을 확인하는 방법까지 알아 보았습니다.
방법을 알면 참 쉽습니다. 인터넷으로 지방세를 납부하고 시간을 아껴보세요.
'인터넷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택스, 개인사업자 사업용 계좌 발급하기 (0) | 2021.01.05 |
---|